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Java

(7)
[K-DigitalTraining] JAVA - 연산자 앞서 자바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자료형은 단순히 데이터를 담고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데이터는 어떻게 다뤄야 할까? 자바에서는 연산자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정하기도 하고,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칙 연산이나 간단하게 변수에 자료를 대입하는 것 부터 복잡한 계산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연산자를 통해 데이터를 다루어 갈 수 있다. 가장 먼저 변수를 선언할때 값을 입력하는 것 또한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int a = 5 ; 라고 할때 정수형 변수 a에 5라는 값을 대입하라는 연산을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이 연산자 '='이다. 이렇듯 우리는 연산자를 통해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를 변경하고, 자유롭게 수정하며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내는데 연산자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와 같은 연산자..
[K-DigitalTraining] JAVA - 자료형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0과 1밖에 모르는 바보다. 반면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는 무척이나 다양하다. 그렇다면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와 컴퓨터가 사용하는 언어를 서로 맞춰주어야 하는데, 이것을 규칙으로 정리한 것이 자료형이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변수를 선언하면 컴퓨터는 메모리에 해당 변수의 크기만큼 메모리를 할당한다. 이 변수가 사용이 종료되기 전까지 변수는 메모리에 남아서 해당 변수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 그렇다면 컴퓨터는 어떻게 이 변수의 크기를 알고 메모리를 할당할까? 그것은 변수가 선언될 때 지정되는 자료형에 따라 메모리의 크기가 달라진다. 우리는 문자와 숫자를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컴퓨터는 오로지 숫자만을 사용한다. 그래서 우리는 변수에 문자를 입력하더라도 컴퓨터는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숫자를 저장하..
[K-DigitalTraing] JAVA 기초 - eclipse사용 JAVA는 텍스트 기반 언어이다. 프로그래밍을 위한 언어는 무척이나 많고 다양하지만,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는 0과 1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코드밖에 없다. 그렇다면 JAVA는 어떤 언어인가? JAVA는 어셈블리어나 바이너리 코드와는 달리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이다. JAVA가 가지는 장점은 이식성이 뛰어나다는 점인데, 특정 OS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OS에서 동일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JAVA는 자바 가상머신상에서 코드가 구현되며, 이것은 각 OS에 맞는 JAVA runtime을 통해 해당 OS나 칩셋에 맞는 명령어로 컴파일 된다. 따라서 우리는 그저 OS에 상관없이 JAVA코드만 짜고, 해당 OS에 맞는 JAVA Runtime을 설치해준다면 어디에서든 JAVA 코드를 실..
[K-DigitalTraning] JAVA - 개발환경 구축 및 JAVA 사용하기 클라우드 환경 속에서 JAVA를 개발하기에 앞서, 먼저 클라우드 개발환경을 구축하려고 한다. 클라우드 개발환경은 기본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와, 웹 프로그램 혹은 자바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환경을 구축해야한다. 현재 실습에서는 컴퓨터 한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를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VM(Virtual Machine)을 통해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구현할 예정이다. 먼저 해당 실습에서는 VMware를 통해 가상환경을 구성하고, 이후 JAVA개발에 필요한 IDE와 JDK를 먼저 설치하고자 한다. VMware 설치에 관해서는 추후에 추가하기로 하고... VMware를 설치한다면 우선적으로 VM을 추가해주어야 한다. Create a..
[패스트캠퍼스 Java&SpringBoot] 국비지원 12일차 현재 등록된 강의는 다 들었다. 내용정리는 어제부터 시작하려고 생각했었지만, 이런저런 일이 많아서....아마 내일부터 하지 않을까? 우선 강의는 한번씩 정독을 다 했고, 이제는 블로그에 내용정리 및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하면서 다시 한번 익혀보려고 한다. 8주차 과정 중에서 2주차를 진행중이고, 모레부터는 3주차가 시작이 된다. 3주차부터는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그에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 혹은 강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에 대해 설계 및 진행을 해 보려고 한다. 우선 패스트캠퍼스 국비지원 과정의 파이널 프로젝트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파이널 프로젝트는 SpringBoot를 이용해서 게시판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스프링부트를 이용하여 웹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BOARD 테이..
[패스트캠퍼스 JAVA-Springboot] 국비지원 4일차 11일에 강의가 오픈이 되고 나서 주차별로 주어진 강의를 듣고, 강의를 모두 이수한 후에 파이널 프로젝트를 제출해야 자부담금 환급이 가능하다는 말에 너무 매몰이 되서 너무 목적 없이 강의를 듣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일을 하면서 남는 시간에 강의를 듣는 상황이기에 시간에 쫒기는 상황이다보니 아무래도 시야가 좁아졌다는 생각이 든다. 정신없이 지내다보니 벌써 4일차가 되었고, 매일 강의를 듣고 정리는 해 두었지만 블로그 포스팅까지 하기에는 뭔가 정리가 안되다보니 포스팅이 점점 늦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오늘은 우선 내가 국비지원 강의를 통해서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지, 강의의 목적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써 무엇을 배우고 익히고 왜 배워야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우선적으로 정리를 해 보고자 한다. 1...
[패스트캠퍼스 JAVA-Springboot] 국비지원 1일차 코딩 국비지원 수업은 지속적으로 알아보고있었지만 이전에는 대학교 재학생, 휴학생 신분이라 어려웠었고, 4대보험 가입자로 취업준비생 인정도 안되서 반쯤 포기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내일배움카드로 통합되서 재직자도 국비지원 교육 수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 기회에 조금 욕심을 낸 것도 어느정도 있었기에 이게 내 개발자로써의 이직에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도전하게 되었다. 이전에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다니면서 BK21사업으로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코어사업단에서 진행하는 연계전공을 신청해서 수강을 하고 있었다. 문제는 연계전공 자체가 인문학도가 취업을 위해 마케팅이나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 소양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타 과 수업을 수강할 수 있게 했었지만, 정작 중요한건 해당 수업을 듣기 위해서는 해..